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단기간 근로자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 완벽 정리!

by 유니이야기 2025. 2. 12.
반응형

 

알바나 단기간 계약직 근무를 하다 보면, “나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계약 기간이 일주일뿐인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많이들 궁금해하시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단기간 근로자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는 조건과 계산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을 성실히 출근하면 받을 수 있는 유급 휴일 수당을 말합니다.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 (휴일)
✔️ 주 15시간 이상 근로한 근로자는 주휴일 부여
✔️ 주휴일에는 평균 하루치 임금을 지급해야 함

 

즉, 일정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라면 단기간 근로자라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은?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아래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① 주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소정 근로시간"이란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주휴수당 대상이 됩니다.

📌 예시
✅ 주 5일 동안 하루 3시간씩 근무한 경우 → 총 15시간 근무 → 주휴수당 지급 O
✅ 주 3일 동안 하루 4시간씩 근무한 경우 → 총 12시간 근무 → 주휴수당 지급 X

 

✅ ② 소정 근로시간, 소정 근로일 모두 출근

  • 근로 계약서에 정해진 근로일에 모두 출근해야 합니다.
  • 만약 지각·조퇴·결근을 하면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예시
✅ 월금(주 5일) 하루 3시간씩 근무하고 모두 출근 → 주휴수당 지급 O
✅ 월금 하루 3시간씩 근무하지만 하루 결근 → 주휴수당 지급 X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 방법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통상 근로자와 다른 방식으로 주휴수당이 계산됩니다. 왜냐하면, 근로 시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죠.

 

✅ 주휴수당 계산 공식

 

📌 단시간 근로자 주휴수당 공식
(4주간의 소정 근로시간 ÷ 통상 근로자의 4주 소정근로일수) × 시급

 

📌 예시로 계산해볼까요?
예시 1) 주 5일 하루 4시간씩 근무, 시급 10,000원

  1. 4주간 총 근로시간 = 4시간 × 5일 × 4주 = 80시간
  2. 통상 근로자의 4주 소정근로일수 = 20일
  3. 주휴수당 = (80 ÷ 20) × 10,000 = 40,000원

💡 즉, 주 5일 하루 4시간씩 근무한 근로자는 주휴수당으로 4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기간이 일주일이어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

네! 1주 계약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조건 충족 시 가능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2. 소정 근로일 모두 출근

📌 예시 1) 주 5일 하루 3시간씩 근무한 아르바이트생 

총 근로시간 15시간 → 주휴수당 지급 O

 

📌 예시 2) 주 3일 하루 5시간씩 근무한 아르바이트생
총 근로시간 15시간 미만 → 주휴수당 지급 X

 

 

주휴수당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 4일 근무하는데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 가능하지만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주 4일 하루 4시간 근무(총 16시간) 한다면 받을 수 있어요!

 

Q2. 아르바이트 첫 주에는 주휴수당 못 받나요?

 

✅ 받을 수 있습니다!
✅ 단,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 근로일 모두 출근해야 합니다.

 

Q3. 주휴수당은 언제 지급되나요?

 

✅ 일반적으로 급여 지급일에 함께 지급됩니다.
✅ 만약 지급되지 않았다면, 사업장에 문의하세요.

 

Q4. 주휴수당 미지급 시 신고할 수 있나요?

 

✅ 네! 신고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 없이 1350) 또는 관할 노동청 신고

 

 

주휴수당 제대로 받는 꿀팁!

✔️ 근로계약서 작성 필수 → 계약서 없이 근무하면 불이익 발생 가능
✔️ 출근 기록 증빙 → 주휴수당 미지급 시 증거로 활용 가능
✔️ 급여명세서 확인 →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

 

💡 만약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주지 않는다면?


고용노동부 신고 가능
✅ 사업장에 정당한 요구 후 지급 거부 시 체불 임금 신고

 

 

단기 근로자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어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정해진 근무일 모두 출근하면 단기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음!
계약기간이 일주일이어도 주휴수당 지급 대상!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신고 가능!

 

🔥 이제 주휴수당에 대한 고민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