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2025년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대상, 금액, 신청 방법 완벽 정리!

by 유니이야기 2025. 5. 11.
반응형

2025년 최저임금 인상과 경기 불황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마련한 일자리 안정자금은 고용유지와 신규 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는데요.

올해부터 지원 대상이 대폭 확대되고, 지원금도 차등 지급되면서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 사업장이 지원 대상인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2025년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대상

1. 사업장/기업 기준

  • 상시 근로자 300명 미만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 공동주택 경비·청소원 고용 사업장: 규모 제한 없음
  •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필수, 4대보험 가입 원칙
  • 사회적기업: 30인 이상 사업장도 취약계층 고용 시 지원 가능

 

2. 근로자 기준

  • 월 평균 임금 2025년 기준 최저임금 이상 (월 209만 원, 시급 10,030원)
  • 지원금 차등 지급
    • 월 190만 원 미만: 월 10만 원
    • 190만 ~ 290만 원 미만: 월 7만 원
    • 290만 원 이상: 월 5만 원
    • 장애인, 만 60세 이상,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는 최대 월 15~25만 원 지원
  • 고용 유지 요건
    • 최근 3개월간 고용 인원 유지
    • 최저임금 준수, 임금 체불·인위적 감원 시 지원 제외

 

3. 우선 지원 대상

  • 고용 취약계층(장애인, 여성, 청년 등) 고용 기업
  • 매출 감소, 고용 위기, 경영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
  • 청년·여성 신규 채용 시 추가 지원금 지급 (최대 월 100만 원)

2025년 주요 변경사항 요약

구분 2024년까지 2025년 변경사항
지원 대상 30인 미만 사업장 300인 미만 사업장 (사회적기업은 30인 이상 가능)
임금 기준 최저임금 이상 190만 미만: 10만 / 190~290만: 7만 / 290만 이상: 5만
취약계층/신규 일부 우대 청년·여성 신규 채용 시 월 최대 70~100만 원 지원
사회적기업 30인 미만만 지원 30인 이상도 취약계층 고용 시 지원
신청 방법 온라인/오프라인 동일, 절차 간소화

2025년 일자리 안정자금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고용보험 시스템, 정부24
  • 오프라인 신청: 관할 고용센터, 근로복지공단

필수 서류

  • 사업자등록증
  • 고용보험 사업장 가입 증명서
  • 최근 3개월 임금 지급 명세서
  • 근로자 명단 등

 

일자리 안정자금 온라인 신청하기


신청 시 유의사항

  • 최저임금 미준수, 임금 체불, 인위적 감원 시 지원 제외
  • 정부 인건비 지원 사업과 이중 수급 불가
  • 지원금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 지원 기간 최대 1년, 연장 시 별도 신청 필요

💬 놓치지 말고 서류 미리 준비해서 꼭 신청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상시 근로자 250명인 우리 회사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네, 2025년부터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Q2. 청년 정규직 신규 채용 시 얼마나 지원되나요?
A. 만 34세 이하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월 최대 100만 원 별도 지원됩니다.

 

Q3. 사회적기업인데 직원이 40명입니다. 지원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취약계층(장애인, 여성, 청년 등)을 고용하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Q4. 지원금은 언제까지 지급되나요?
A. 최대 1년간 지급되며, 연장이 필요할 경우 별도 신청하셔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