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확인하죠?” 단순히 만 65세 이상이라고 해서 기초연금을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정부는 매년 소득인정액 기준에 따라 수급 대상을 결정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초연금 수급 자격 조건과 계산법(2025년 기준)을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기초연금 기본 수급 조건
기초연금은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 만 65세 이상
- 대한민국 국적 보유 및 국내 거주
-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 이하
📌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약 70% 노인을 대상으로 지급됩니다.
2025년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기준
구분 | 단독가구 | 부부가구 |
선정기준액 | 약 213만원 이하 | 약 341만원 이하 |
👉 이 기준액보다 본인의 소득인정액이 적어야 수급 가능합니다.
소득인정액이란?
소득인정액 = 실제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실제 소득평가액에는?
- 근로소득, 연금소득(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이자소득, 임대소득 포함
▶ 재산의 소득환산액 계산법
- (일정 금액 공제 후) × 환산율
- 예: 일반 재산 1억 보유 → 약 86만 원 정도로 계산
실제 계산 예시
예시 1: 단독가구 어르신
- 국민연금: 월 40만 원
- 임대소득: 월 10만 원
- 일반재산: 6천만 원 (지역공제 1,000만 원 적용 후)
👉 총 소득인정액 약 195만 원 → 기초연금 수급 가능!
내가 받을 수 있는지 바로 확인하는 방법
▶ 복지로 모의계산
-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 “기초연금 모의계산”
▶ 읍·면·동 주민센터 상담
-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시, 소득·재산 기준에 따라 수급 가능 여부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전화 문의
요약 정리
✅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시 가능
✅ 2025년 선정기준: 단독 213만 원 / 부부 341만 원
✅ 소득과 재산 모두 합산해 ‘소득인정액’으로 계산
✅ 복지로 모의계산 또는 주민센터 상담 추천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초연금 감액 대상자와 금액 차이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중복 수급 가능 복지 혜택 총정리 (0) | 2025.03.30 |
---|---|
기초연금 감액 대상자 기준과 지급 금액 차이 (0) | 2025.03.29 |
기초연금과 유족연금, 둘 다 받을 수 있을까? 중복 수급 가능 여부 정리 (0) | 2025.03.29 |
중장년층 필독! 유족연금 신청 자격·필요서류·절차까지 한눈에 (1) | 2025.03.29 |
예방접종도우미로 홍역 예방부터 병원 정보까지 한눈에! (2) | 2025.03.25 |